반응형
SMALL
🧠 머신러닝은 어떻게 배우나?
– AI가 스스로 학습하는 구조, 쉽게 설명드립니다!
🤔 AI는 어떻게 ‘배우는’ 걸까요?
1편에서 머신러닝이란 ‘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배우는 기술’이라고 설명드렸죠.
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배우는 걸까요?
사람처럼 교과서를 읽는 것도 아니고, 선생님이 가르쳐주는 것도 아닌데…
도대체 ‘기계가 학습한다’는 게 무슨 의미일까요?
오늘은 머신러닝의 학습 구조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릴게요!
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, 실생활 예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.
📚 머신러닝의 기본 구조
머신러닝은 아래의 3단계 구조로 작동합니다.
[1] 학습(훈련) → [2] 예측 → [3] 평가 및 개선

🔧 1. 학습 (Training)
- 입력(특징)과 출력(정답)이 함께 있는 ‘훈련용 데이터’를 이용
- 모델이 입력과 출력 사이의 관계를 스스로 찾아냄
- 이 과정에서 ‘모델 파라미터(계산법)’이 최적화됨
예: "면적이 30평인 집은 약 4억 원이다"는 데이터를 1,000개 학습
🔮 2. 예측 (Prediction)
- 이제 모델은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오면,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출력을 예측합니다.
예: "35평인 집의 가격은 얼마일까?" → 예측: 약 4억 8천만 원
🧪 3. 평가 및 개선
- 예측값과 실제값을 비교하여 **오차(에러)**를 계산
- 오차가 작아지도록 모델을 반복 개선(훈련)
-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하면서 점점 정확도가 올라갑니다.
🧠 지도학습 vs 비지도학습 vs 강화학습
머신러닝은 학습 방식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뉩니다.
✅ 1. 지도학습 (Supervised Learning)
- 입력과 정답이 모두 주어짐
- 예: 키와 몸무게 → BMI 계산
- 활용 분야: 가격 예측, 이메일 스팸 분류, 이미지 분류 등
✅ 2. 비지도학습 (Unsupervised Learning)
- 정답 없이 입력만 주어짐
- 모델이 스스로 패턴을 찾아냄
- 예: 고객을 취향별로 자동 분류
- 활용 분야: 추천 시스템, 클러스터링, 이상 탐지 등
✅ 3. 강화학습 (Reinforcement Learning)
- 보상 기반 학습
- 잘하면 +보상, 못하면 -패널티를 받으며 스스로 전략을 최적화
- 예: 게임, 로봇, 자율주행차 등
📦 실생활 예시: 택배 자동 분류
단계설명
학습 | 과거 배송 주소와 크기 데이터를 학습 |
예측 | 새로운 택배가 들어오면 적절한 분류지를 예측 |
평가 | 오배송 여부를 통해 성능 평가 후 개선 |
🎯 한 장 요약표
구분지도학습비지도학습강화학습
정답 유무 | O | X | 보상 기반 |
대표 예시 | 이메일 분류 | 고객 군집화 | 게임 에이전트 |
학습 방식 | 예/아니오 정답 기준 | 패턴 추출 | 시행착오 반복 |
사용 분야 | 가격 예측, 스팸 필터 | 추천 시스템 | 로봇 제어, 자율주행 |
🔍 그래서, 머신러닝은 이런 기술입니다
- 데이터 기반으로 스스로 규칙을 발견하는 기술
- 정답을 주면 지도학습, 안 주면 비지도학습
- 보상 주면 강화학습!
🧩 다음 편 예고
👉 [3편. 딥러닝이 특별한 이유 – 뇌를 닮은 신경망]
- 인공신경망이란 무엇인가
- 왜 ‘딥’한 구조가 필요한가
- 이미지 인식이 가능한 이유!
반응형
LIST
'AI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6편》 AI는 왜 편향될까? (5) | 2025.07.04 |
---|---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5편》 ChatGPT는 어떻게 대답할까? (8) | 2025.07.03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4편》 생성형 AI란? (5) | 2025.07.02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3편》 딥러닝이 특별한 이유 – 뇌를 닮은 신경망 (1) | 2025.07.01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1편》 인공지능, 머신러닝, 딥러닝은 어떻게 다를까? (2) | 2025.06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