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MALL
🤖 인공지능, 머신러닝, 딥러닝은 어떻게 다를까?
– AI 개념의 계층 구조,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!
🧠 AI, 아직도 헷갈리시나요?
요즘 ‘AI’라는 단어, 정말 많이 들리죠?
ChatGPT, 미드저니, 자율주행차, 얼굴 인식까지 전부 ‘AI 기술’이라고 하는데…
그런데 왜 어떤 건 머신러닝이고, 또 어떤 건 딥러닝이라고 부를까요?
많은 분들이 처음 AI를 접할 때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
바로 AI, 머신러닝, 딥러닝의 개념과 관계입니다.
오늘은 이 세 가지를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,
비유와 예시 중심으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 😊
📚 용어 정리부터 시작해볼게요!
용어의미쉬운 비유
AI (인공지능) | 인간처럼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시스템 | 똑똑한 비서 |
머신러닝 (ML) | 데이터를 학습해서 스스로 판단하는 AI 기술 | 스스로 배우는 비서 |
딥러닝 (DL) | 신경망 구조를 이용한 고급 머신러닝 기술 | 뇌 구조를 흉내낸 똑똑한 비서 |
🔁 관계를 그림으로 이해해보자!
인공지능 (AI)
└── 머신러닝 (ML)
└── 딥러닝 (DL)
📌 AI는 가장 큰 개념이에요.
그 안에 머신러닝이 포함되고, 머신러닝 안에 딥러닝이 포함됩니다.
💡 실생활 예시로 이해해볼까요?
📦 예시: 택배 분류 시스템
- AI 단계
- 택배 상자를 보고 자동으로 분류하는 시스템
- 사람이 아닌 기계가 판단하는 것 자체가 인공지능
- 머신러닝 단계
- 수천 개의 상자 데이터를 보고 스스로 ‘분류 기준’을 배움
- 예: 상자 크기, 주소, 무게로 학습 → 자동 분류
- 딥러닝 단계
-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을 보고도 직접 분류
- 사람이 개입하지 않아도 ‘이미지 인식’을 통해 처리 가능
🎯 핵심 차이 한 줄 요약
항목AI머신러닝딥러닝
범위 | 가장 넓음 | AI의 하위 분야 | ML의 하위 분야 |
원리 | 규칙 기반 + 학습 기반 | 데이터 학습 | 신경망 기반 |
예시 | 체스 AI, 자율주행 | 이메일 스팸 분류 | 얼굴 인식, 번역기 |
장점 | 사람처럼 ‘보이게’ 함 | 반복 학습 가능 | 고차원 추론 가능 |
🚀 왜 이런 구분이 중요할까요?
요즘 뉴스에서 "AI가 사진을 만든다", "AI가 사람 목소리를 따라한다"는 말 많이 들으시죠?
이런 기술들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딥러닝 기반입니다.
그런데도 그냥 ‘AI’라고 부르죠.
우리가 이 용어들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면,
AI 기술의 깊이와 수준을 구별하고,
콘텐츠를 더 전문적으로 해석하거나 설명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됩니다.
🧩 다음 편 예고
👉 [2편. 머신러닝은 어떻게 배우나? - 학습 구조 완전정복]
- 지도학습 vs 비지도학습
- 훈련 → 예측 → 개선 과정
- AI가 배우는 방식 이해하기
반응형
LIST
'AI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6편》 AI는 왜 편향될까? (5) | 2025.07.04 |
---|---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5편》 ChatGPT는 어떻게 대답할까? (8) | 2025.07.03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4편》 생성형 AI란? (5) | 2025.07.02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3편》 딥러닝이 특별한 이유 – 뇌를 닮은 신경망 (1) | 2025.07.01 |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2편》 머신러닝은 어떻게 배우나? (3) | 2025.06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