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 개념정리

《초보자를 위한 AI 개념 정리 시리즈 3편》 딥러닝이 특별한 이유 – 뇌를 닮은 신경망

어떤AI 2025. 7. 1. 09:00
반응형
SMALL

🧠 딥러닝이 특별한 이유 – 뇌를 닮은 신경망

– AI가 스스로 ‘생각’하는 원리, 이해해봅시다!


🤔 딥러닝은 왜 이렇게 주목받을까?

요즘 AI라 하면 대부분 **‘딥러닝 기반’**이에요.
ChatGPT, 이미지 생성 AI, 자율주행차, 번역기까지 거의 모두가 딥러닝으로 움직이죠.

하지만 도대체 딥러닝이 뭘까요?
왜 기존 머신러닝보다 더 똑똑하다고 하는 걸까요?

이번 편에서는 딥러닝이 어떤 구조로 작동하는지,
그리고 왜 지금 시대의 핵심 기술이 되었는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😊


🧠 딥러닝 = 뇌를 닮은 구조

✅ 딥러닝의 핵심: 인공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)

  • 인간의 뇌 구조(뉴런)를 모방한 수학적 모델
  • 입력값이 뉴런을 거치며 가중치 계산 → 다음 뉴런으로 전달
  • 이런 과정을 **여러 층(Layer)**으로 쌓은 것이 딥러닝입니다.
 
[입력층][은닉층1][은닉층2] → … → [출력층]
 

✅ ‘딥(Deep)’이란 말은 **‘은닉층이 여러 개인 구조’**를 의미해요.

 


📦 실생활 비유: 커피 머신 학습하기

  • 머신러닝:
    사람이 ‘맛있는 커피란 쓴맛이 적고 신맛이 강한 것’이라고 직접 알려줌
  • 딥러닝:
    기계가 수많은 커피 맛 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하고,
    어떤 특징이 ‘맛있음’인지 스스로 발견

🧠 층(Layer)의 역할은?

층 종류설명
입력층 데이터가 처음 들어오는 부분 (예: 이미지 픽셀)
은닉층 입력값을 가공, 특징을 추출하는 계산층
출력층 최종 예측 결과 도출 (예: 고양이 or 강아지)
 

예: 사진을 입력하면,
1층은 선/점 → 2층은 모양 → 3층은 눈/코 → 마지막에 ‘고양이’ 출력


🧪 딥러닝의 강점은?

  1. 자동으로 특징(feature) 추출
    → 사람이 일일이 특징을 지정하지 않아도 됨
  2. 고차원 데이터 처리
    → 이미지, 음성, 자연어 등 복잡한 데이터에 강함
  3. 정확도 향상
    → 데이터가 많을수록 학습 성능이 기하급수적으로 향상됨

🚫 단점도 있을까?

단점내용
설명력 부족 어떻게 판단했는지 이해하기 어려움 (블랙박스)
학습 시간 대량 데이터 + 고성능 GPU 필요
과적합 학습 데이터에만 과도하게 맞춰질 위험
 

🎯 딥러닝은 이런 곳에 쓰이고 있어요

분야활용 예시
이미지 처리 얼굴 인식, 자율주행
자연어 처리 ChatGPT, 번역기
음성/소리 AI 스피커, 보이스 클로닝
영상 생성 Sora, Runway, Pika 등
게임 / 강화학습 알파고, AI 에이전트
 

🔍 머신러닝과 비교하면?

항목머신러닝딥러닝
특징 추출 사람이 지정 자동 추출
데이터 양 비교적 적어도 가능 많을수록 성능 향상
구조 단순 모델 다층 신경망
응용 숫자 예측, 간단한 분류 이미지, 언어, 영상 등 복합 데이터
 

🧩 다음 편 예고

👉 [4편. 생성형 AI란? – ChatGPT와 Midjourney가 가능한 이유]

  • 생성형 AI의 작동 원리
  • 텍스트 → 이미지, 영상, 음악의 비밀
  • GPT, Diffusion 모델 등 핵심 개념 요약
 
반응형
LIST